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(영화학) 박사
2019-2022.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조교수
2016-2019.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연구교수
2020-현재. 한국영상학회 부편집위원장
2021. 영화진흥위원회 국제영화제 평가위원
2019-2021. 캐나다 한국 영화제(Korean Film Festival Canada) 프로그래머 및 자문위원
2019.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(네마프 NeMaf) 부집행위원장
영화 및 미디어 이론, 디지털 시각효과(VFX), 영화 테크놀로지, 미디어고고학, 실감미디어 등.
영상기술론, 영상기획제작, 영상제작의기초 등.
[논문]
정찬철(2021). 포스트시네마, 에피소드 II: 공간이미지 시대의 개막. <문학과 영상>, 22권 1호, 231-264.
정찬철(2021). 회전하는 이미지(들): 시네마, 모빌리티, 모더니티. <구보학회>, 27집, 2021, 125-152.
정찬철(2021). 스펙터클 이미지: 탈연속성과 몰입의 서사. <아시아영화연구>, 14권 1호, 249-278.
정찬철(2020). 여자, 도시를 걷다 보다 묻다: <고양이를 부탁해>, <여자, 정혜>, <이리>. <한국영상학회논문집>, 18권6호, 17-34.
정찬철(2019). 미카엘 하네케의 비디올로지: 녹화, 재생, 되감기/빨리감기. <문학과 영상>, 20권 3호, 659-679.
정찬철(2019). 완전영화의 테크놀로지 - 바쟁, 시네마스코프, 공간영화. <비교문학>, 제78집, 293-319.
정찬철(2019). 상상적/실제적 서사 미디어로서 영화에 대한 미디어고고학. <대중서사연구>, 25권 4호, 361-395.
정찬철(2019). 포스트시네마 이미지, 에피소드 I: 공간이미지의 출현. <문학과영상>, 19권 1호, 53-92.
정찬철(2018). <영화 속 디지털 시각효과>의 테크놀로지와 미학과 서사를 읽다. <대중서사연구>, 24권 1호, 483-515.
정찬철(2017). 할리우드와 한국의 시네마스코프 영화의 몰입적 스토리텔링 비교분석. <한국예술연구>, 제17호, 57-82.
정찬철(2017). 낯선 집의 우울한 한인 디아스포라 주체 ? 해외 로케이션 한국영화, 1987-1997. <동아시아문화연구>, 제70집, 79-105.
정찬철(2017). 영화역사학의 기술적 전환: 테크노-시네마와 테크노-시네마-아트. <영화연구>, 72호, 5-34.
정찬철(2016). 해외 로케이션 영화의 글로컬 알레고리, 1980~1987. <통일인문학>, 67집, 203-234.
정찬철(2015). 포스트시네마로의 전환. <영화연구>, 64호, 135-175.
[저역서]
유시 파리카·정찬철 책임번역(2022). <미디어고고학이란 무엇인가?>. 현실문화(출간예정)
(Parikka, Jussi. What is Media Archaeology? Cambridge: Polity, 2012)
정찬철 외 8명(2021).
정찬철 외 24명(2020). <21세기 사상의 최전선>. 이성과감성.
정찬철(2018). <디지털 시각효과에 관한 짧은 역사>. 아모르문디.
정찬철 외 6명(2017). <은막의 사회문화사: 1950-1970>. 현실문화.
[영상작품]
정찬철·유태경·강다혜(2021). <딥.포토플래이 Deep.Photoplay : 휴먼×인공지능 기반 무성영화 연주 프로젝트>. 한국예술문화위원회(ARKO).
(작품 링크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C45eORIQ4SY)
(인터뷰 자료: https://url.kr/vaogeb )
정찬철·전우형·유태경·최민혁(2020).
인문사회과학대 C25 344호